1. 건강검진 제도와 목적

국가건강검진은 질병을 미리 발견하고 예방하기 위해 정부가 제공하는 제도에요. 평소 증상이 없는 상태에서도 고혈압, 당뇨, 암 등의 위험 요인을 미리 파악할 수 있죠. 따라서 대상이 되면 꼭 챙겨받는 것이 좋습니다.


2. 2025년 건강검진 대상자 기준

  • 20세 이상 의료보험 가입자(지역가입자 + 직장가입자) 및 피부양자. 만 19세 ~ 64세 의료급여 수급자도 포함됨. 

  • 직장가입자의 경우
      • 사무직 근로자: 2년 주기로 검진 (출생연도 끝자리에 따라 짝수/홀수 구분) 
      • 비사무직 근로자: 매년 검진 대상. 

  • 2025년은 홀수년도 출생자가 주요 대상자 해임. 

즉, 당신처럼 출생년도 끝자리가 홀수면 2025년 검진 대상자일 가능성이 높아요.


3. 2025년 검진 항목 변경 및 추가

2025년에는 아래와 같은 항목들이 확대 또는 신설되어 더욱 풍성한 검진이 가능해졌습니다. 

  • 청년층 정신건강검진 확대: 20~34세 대상 우울증 검사 외 조기정신증 선별 검사 등이 강화됨. 

  • C형 간염 항체검사 신설: 만 56세를 대상으로 항체 검사 도입됨. 

  • 골다공증 검사 대상 확대: 만 60세 여성도 검진 대상에 포함됨. 

  • 기본 공통 항목 및 암검진 항목은 기존대로 유지되며, 연령/성별에 따라 차등 적용됨. 


4. 내 주변 검진센터 찾는 법

검진을 받으려면 지정된 기관에서 받아야 혜택이 적용돼요. 아래 방법으로 쉽게 검색할 수 있어요:

  • 국민건강보험공단 홈페이지 또는 앱에서 “검진기관 찾기 / 지정병원 검색” 이용 한국건강관리협회(KAHP) 전국검진센터 안내 페이지 참조 

  • KMI 전국센터 목록 보기: 광화문, 여의도, 강남 등 센터 있음 

  • 종합검진 비교·예약 사이트 이용: 예) Checkup Adoc 등 

이렇게 하면 내 주소 주변으로 검진센터 위치와 연락처까지 확인 가능해요.


5. 검진 준비 팁 & 유의사항

  • 검진 전날 밤 9시 이후에는 금식해야 정확한 혈액검사 결과가 나와요.

  • 복용 중인 약이 있다면 의료진에게 미리 알려야 합니다.

  • 신분증 지참 필수! 본인 확인 절차가 있어요.

  • 검진 기관은 예약이 필요하므로 미리 전화 또는 온라인으로 예약하는 것이 좋아요.

  • 편한 복장과 최소한의 소지품으로 준비하면 편해요.